월간러닝 프로젝트, CBT 시작
안녕하세요. 월간러닝입니다.
드디어 CBT를 시작했습니다! JavaScript 풀스택으로 MVP 개발을 시작한 지 두 달 만에 이뤄낸 성과입니다. 그동안 풀스택 개발자 역할에 집중하면서 기술적인 자신감은 얻었지만, 예술적인 차트 제작이나 고객 피드백을 기반으로 한 사업 마케팅 역량을 키우진 못했네요. 이제는 이 CBT를 기반으로 아티스트적인 감각과 사업 역량을 함께 키워 나갈 예정입니다. (물론 고객을 직접 만나게 된다는 건 여전히 긴장되는 일이지만요!)
CBT 홍보
꾸준한 러닝 활동으로 참여하게된 온·오프라인 러닝 커뮤니티에서 홍보를 진행했습니다.
트위터 기반으로 매일 러닝 인증하고 서로 동기부여하는 클럽입니다.
- 멤버수 : 482명
- 활동 멤버수 : 168명
- 홍보글 노출 : 242회
런린이도 달리면 하니
회사에서 매일 러닝 인증하는 단톡방입니다.
- 홍보글 노출 : 24회
지인 커뮤니티 (브로러닝, 윗밤)
지인들의 러닝, 백패킹 친목 모임입니다.
- 홍보글 노출 : 18회
CBT 결과
1주 동안 진행된 CBT의 중간 데이터를 간략히 정리해 보면, 노출 대비 44%의 고객이 방문했고, 그중 18%가 가입했습니다. 접속자가 폭발할까 봐 Vercel 유료 플랜도 급히 결제했지만, 다행히 그런 일은 없었네요 😄.
대부분의 방문 고객은 러너일 것으로 예상되며, Strava 앱 인증을 통해 쉽게 가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. 하지만 방문자의 1/5만 가입한 이유는 아마도 Strava 사용자가 적기 때문일 겁니다. 물론 서비스 자체의 매력이 부족했을 가능성도 있으니 고객 피드백을 꼭 받아봐야겠네요.
퍼널 분석
- 노출 : 약 284회
- 방문 : 126회 (노출의 44%)
- 가입 : 23명 (방문의 18%, 노출의 8%)
Vercel의 Analytics 데이터
Strava의 API 데이터
CBT 버그들
역시 실제 고객 환경에서는 다양한 버그들이 발생했습니다. 간단하게 정리해 봅니다.
Strava 앱 인증 오류
- 현상: Twitter, LINE, KakaoTalk 등에서 Strava 인증 후 서버 에러 발생
- 원인: 인앱 브라우저에서 인증을 시작했으나, 결과는 시스템 기본 브라우저로 이동하면서 발생한 문제
- 해결: 인앱 브라우저를 감지하여 기본 브라우저에서 인증을 시작하도록 유도
- Known Issue: 인앱 브라우저 감지가 100% 정확하지 않음
데이터 동기화 오류
- 현상: Strava의 러닝 데이터를 가져오지 못함.
- 원인: OAuth2 인증 시 ‘read_all’ 권한 누락 및 Auth.js에서 access_token이 갱신되지 않음
- 해결: 새롭게 로그인한 유저의 access_token을 수동으로 저장하도록 코드 수정
애플워치 차트 오류
- 현상: 애플워치로 러닝한 유저는 꽃잎이 하나만 나옴
- 원인: 애플워치는 자동 Lap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음
- 해결: Lap이 하나 이하일 경우 1km 단위의 Split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수정
작은 꽃 이미지 잘림 현상
- 현상: iPhone에서 작은 꽃 이미지가 잘려 보임
- 원인: CSS 충돌 문제
- 해결: rechart 사용을 중단하고 직접 꽃 이미지를 표시해서 CSS 충돌 방지
마무리
지난 한 주는 홍보와 버그 수정 작업으로 바쁘게 지나갔습니다. 소수지만 첫 고객이 생긴 기쁨과 버그 수정의 긴장을 함께 느끼는 시간이었어요. 앞으로도 많은 개선이 필요하겠지만, 이번 주에는 홍보와 아트 작업에 좀 더 집중할 계획입니다.
- Strava 유저를 대상으로 한 DM 홍보
- Flower 차트의 유료화 컨셉 작업
앞으로도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. 감사합니다!